마스크를 오래 쓰면 생기는 ‘무표정 습관’의 얼굴 변화
“마스크를 쓰고 난 뒤부터, 웃는 게 어색해졌다는 말을 들었어요.”
마스크 착용이 일상이 된 지 몇 해가 지나면서 사람들의 표정 사용에도 변화가 생겼습니다.
특히 표정이 가려진 상태가 계속되다 보면 무의식 중에 안면 근육을 덜 사용하게 되는 ‘무표정 습관’이 생기게 됩니다. 이 습관은 단순히 인상뿐 아니라 얼굴 라인, 근육 탄력, 노화 속도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마스크와 무표정 습관의 연결, 얼굴에 나타나는 변화와 이를 예방하는 간단한 루틴을 소개합니다.
1. 마스크가 만든 ‘표정 없는 일상’
마스크는 코와 입을 가려주는 보호 수단이지만, 그 부작용 중 하나는 안면 근육의 사용 빈도 감소입니다.
대표적인 무표정 습관 변화:
- 😶 웃을 때 입꼬리를 들지 않음
- 😐 말할 때 최소한의 입 움직임
- 😑 눈웃음이나 이마 표정만 사용하는 경향
- 🤐 무의식 중 입을 다문 채 말함 (턱 고정)
이런 습관이 반복되면 표정근, 즉 얼굴의 움직임을 담당하는 근육들이 약화되며 시간이 지날수록 인상이 굳어지고 표정이 어색하거나 부자연스럽게 보이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특히 실내에서도 장시간 마스크를 쓰는 직종, 대면 업무가 줄어든 재택근무 환경에서는 표정 사용 기회 자체가 급격히 줄어들게 됩니다.
2. 얼굴에 생기는 무표정 습관의 영향
표정을 적게 쓰는 생활이 지속되면 얼굴에는 다양한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단순히 보기 싫은 문제가 아니라, 피부 탄력과 근육 기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는 신체 변화입니다.
무표정 습관이 만드는 얼굴 변화:
- ⏬ 입꼬리 처짐 → 무기력한 인상
- 🪞 볼 살 처짐 → 팔자주름 심화
- ⚖️ 안면 비대칭 → 한쪽으로 말하거나 웃는 습관 고착
- 🧊 근육 경직 → 씹는 기능 저하, 턱관절 통증
- 📸 사진에서 표정이 굳은 듯하게 보임
또한, 얼굴 근육은 감정 표현과 직결되어 있기 때문에 무표정 습관은 점차 감정 표현력 자체를 낮추고, 대인 관계나 커뮤니케이션의 활력을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3. 무표정 습관을 예방하는 표정 루틴
다행히 얼굴 근육은 비교적 빠르게 회복이 가능합니다. 다음 루틴을 통해 마스크 시대에도 표정 잃지 않기를 실천해보세요.
① 하루 3분 표정 스트레칭
- 거울 앞에서 활짝 웃기 (입꼬리 3초 유지 × 10회)
- ‘아·이·우·에·오’ 모음 발음 크게 말하기
② ‘무표정 경고’ 알람 설정
- 1시간에 한 번 스마트워치나 알람으로 리마인드
- 표정 점검 & 얼굴 근육 움직이기
③ 마스크 벗는 시간 확보
- 실내나 혼자 있을 때 일부러 마스크 벗고 대화하기
- 입모양 보며 말하기 → 말습관 교정
④ 씹는 근육 활성화
- 한쪽만 씹는 습관 줄이고 양쪽 골고루 사용
- 딱딱한 음식으로 턱 근육 활성화 (너무 과하게는 금지)
⑤ 셀프 마사지
- 광대 주변, 턱선, 입꼬리 부위를 원형으로 부드럽게 마사지
- 긴장된 표정근 이완 + 혈류 개선
이 루틴은 간단하지만, 표정을 되찾고 자연스러운 인상을 유지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햇빛 알레르기? 자외선 과민증의 초기 신호들 (2) | 2025.04.21 |
---|---|
배꼽 주변 통증, 단순 복부가 아닌 장 연동 문제일 수 있다 (0) | 2025.04.20 |
이유 없이 멍이 잘 든다면, 혈관 탄력 점검이 필요해요 (2) | 2025.04.20 |
뒤통수 열감이 계속된다면, 자율신경 조절 이상일 수 있어요 (1) | 2025.04.19 |
스마트워치 맥박 알림, 언제부터 걱정해야 할까? (1) | 2025.04.19 |